본문 바로가기
목차
[노트장] 적으며 정리해 보는 이론/리액트

[리액트기초] Props : 전달 (children도)

by 졸린부엉이 2024. 3. 15.

Props 

props는 상위부모에서 자식에세 값을 전달할때 사용됩니다.

다른이름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일반적으로 정해진 이름이 'props'이기에 가급적 따라가는게 좋습니다.

 

props의 전달 방법과 받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props로 받기

1. 왼쪽: 전달 / 2. 오른쪽: 받는

1. Button component에 이벤트와, 문구를 전달을 하고있습니다.

2. Button(props) => 전달해준 값을 props라는 통에 담아 가지고 온것입니다.

그래서 객체구조 이기에 props.프로퍼티로 사용하여

전달 받은 값을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화면을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 전달 받은 구조
props = { 
   name : '클릭해주세요',
   event : const click = () => {
     console.log('클릭했다~~~~!!!!!~~~~~')
   }
}

 

 

 

 


 

 

 

props로 받아 꺼내서 사용

1. 왼쪽: 전달 / 2. 오른쪽: 받는 => {name, event} 중괄호 안에 프로퍼티를 적고 꺼내서 사용하는 방법

 

 

 

 


 

 

 

 

Obj를 spread로 한번에 다 보내기

1. 왼쪽: 전달 / 2. 오른쪽: 받는 => 왼쪽에 obj 객체 전체를 한번에 props 하는 방법이다. 오른쪽은 style통으로 받고 사용

 

 

1. 왼쪽: 전달 / 2. 오른쪽: 받는 => 왼쪽에 obj 객체를 한번에 props 하고, 받은 쪽에서 style를 풀어서 사용

 

 

1. 왼쪽: 전달 / 2. 오른쪽: 받는 =>  하나하나 적어서 보낼수도 있다

 

 

 

 


 

 

 

children  

props 처럼 여러가지 값이 전달된다

 

공식문서에서는 이런것들이 전달된다고 적혀있다.

 

 

console.log가 (2)번씩 호출된었는데요. 그것은!
첫 번째 호출은 App 컴포넌트에서 각 Button 요소를 렌더링할 때 발생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호출은 Button 컴포넌트가 실제로 DOM에 렌더링될 때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때 console.log()가 실행되어서 2번 출력이 된것입니다.

 

 

 

 

 

 

[참고]

https://ko.react.dev/reference/react-dom/components/common#common